본문 바로가기

김경렬 [시간의 의미] 책 리뷰

by ianw 2025. 1. 22.
반응형

 

시간의 의미 책


[김경렬 _ 시간의 의미 _ 생각의 힘 _ 교양 _ 과학 공학 _ 교양과학]

 

시간의 의미 책


뭔가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 역시 그렇다. 나는 달력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 책을 만났다. 일을 시작하기 전에 나는 달력의 기원이 궁금했다. 

 

시간의 의미 책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우선 구글에서 관련 이미지를 검색해보기 전에 프로젝트와 관련된 책을 읽기를 권하고 있다. 덕분에 나는 이 책에서 시간과 달력과 관련된 꽤 흥미로운 내용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간의 의미 책


발견한 내용들은 이 글 아래의 문장수집을 통해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는 내가 수집한 것보다 훨씬 많은 시간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시간의 의미 책


우리는 시간과 함께 살아가지만 정작 시간의 의미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달력이나 시계를 통해서 우리가 정돈해 놓은 시간의 개념이 너무나 일상적이고 당연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시간의 의미 책


시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과 우주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해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그것은 각자의 선택에 의해 각자의 세계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해석되고 수집될 여지가 있어서 더욱 흥미롭다. 141페이지의 짧은 내용과 새끼손톱만큼 얇은 두께 역시 책의 내용만큼이나 매력적이다. 

시간의 의미 책

 

 

 

 


[문장수집]


오늘날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달력은 그레고리력으로 불리는데, 이것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의 칙령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레고리력이 사용되기 전에 사용되었던 달력은 율리우스력이다. 율리우스력은 기원전 48년 로마의 집정관이었던 카이사르가 이집트로부터 들여온 것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영문이름이 우리가 부르는 ‘시저’이다. 율리우스의 흔적은 7월을 나타내는 July에 남아있다.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넘어가는 순간, 전 세계의 사람들은 10일을 잃어버렸다. 그것은 율리우스력이 가지고 있던 오차를 수정하는 과정이었다.


사람들은 왜 달력을 만들었을까? 미국의 생물학자 Stephen Jay Gould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자연 현상의 규칙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달력을 만들었다. 농촌에서는 파종에 적합한 시기를 알기 위해서 양력(태양력)이 필요하였고, 어촌에서는 조석의 시간을 알기 위해 음력(태음력)이 필요하였다.”


하루가 걸리는 지구의 자전, 약 한 달이 걸리는 달의 지구 주위 공전, 그리고 약 1년이 걸리는 지구의 태양 주위 공전은 자연계의 규칙적 순환이다. 세 가지 천체의 운행 사이에는 간단한 산술적 연계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1789년 프랑스 혁명정부는 10진법에 기초한 새로운 혁명달력을 공표하였다. 하루는 20시간, 매 시간은 100분, 매 분은 100초가 되었다. 이집트나 그리스 사람들은 10일 단위로 날짜를 계산하였고, 옛 로마 달력에는 8일마다 열리는 장날이 표기되어 있었다. 우리가 익숙한 7일 주기는 바빌론과 유대교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후 그레고리력의 모순과 불편을 개선한 이상적인 달력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용화에 실패하였다. 이는 일반에 익숙해진 관습을 효율성이라는 이름만으로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재미있는 예이다. 비슷한 예로 영문자판 QWERTY가 있다. 자주 사용되는 A와 S가 왼손의 새끼와 약지손가락으로 치도록 불편하게 배열되어 있는데, 이것은 초기의 기계식 타자기에서 의도적으로 타자의 속도를 느리게 하기위해 만들어진 배열이었다.


2012년에 지구의 모든 사람들은 1초를 선물로 받았다. 보통사람들에게 1초는 중요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빅뱅 후 1초 뒤에 오늘날의 우주를 이루는 모체들이 다 만들어졌다. 우리의 생활속에서도 1초는 중요한데, 예를 들어 공해상에서 운전대 작동이 1초만 늦어져도 배의 방향이 400미터나 틀어지며, 육상경기에서는 몇백분의 1초에 승부가 갈린다.


 

 


#시간의 의미 책 #시간의 의미 책 추천 #시간의 의미 교양 #시간의 의미 과학 공학 교양과학
#교양 추천 #과학 공학 교양과학 추천 #요즘 읽을 만한 교양 #요즘 읽을 만한 과학 공학 교양과학 #생각의 힘 #시간이란 무엇인가

 



 

 

반응형